본문 바로가기
직업상담사 오라이쌤

[직무가이드]구직자를 위한 마케팅 직무 A to Z: '마케터'의 길을 걷고 싶은 당신에게

by 별사색 2025. 8. 27.

구직자를 위한 마케팅 직무 A to Z: '마케터'의 길을 걷고 싶은 당신에게

마케팅은 흔히 '광고'나 '홍보'로 알려져 있지만, 그 안에는 깊고 다양한 전문 분야가 존재합니다. 마케터의 길을 걷고 싶다면, 먼저 자신이 어떤 유형의 마케터가 될지 명확히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 글은 마케팅 직무의 세부 분야를 파악하고, 각 분야에 필요한 핵심 역량과 현실적인 준비 팁을 제공하여 여러분의 성공적인 커리어 설계를 돕고자 합니다.


Part 1. '마케팅'을 넘어 '마케터'를 정의하라

마케팅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, 각 유형은 요구하는 역량과 업무 방식이 완전히 다릅니다. 이 세 가지 유형은 마치 팀의 '두뇌', '심장', '손과 발'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.

1. 비즈니스의 '두뇌', 전략가형 마케터

  • 주요 역할: 시장과 소비자를 분석하여 큰 그림을 그리는 **'설계자'**입니다. '우리 브랜드는 왜 필요한가?', '어떤 고객을 만날 것인가?'와 같은 근본적인 질문에 답하며, 비즈니스 성장을 위한 장기적인 로드맵을 수립합니다.
  • 세부 직무: 마케팅 기획/전략, 시장 분석, 비즈니스 개발
  • 요구 역량:
  • 성공 팁: 관련 경험이 없다면 데이터 분석 자격증이나 비즈니스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논리적 사고력을 기르세요. 예를 들어, '스타벅스 매출 감소 원인 분석 및 해결 방안'과 같은 주제로 나만의 리포트를 만들어 포트폴리오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
2. 비즈니스의 '심장', 스토리텔러형 마케터

  • 주요 역할: 브랜드에 생명력을 불어넣고, 고객의 감성을 움직이는 **'예술가'**입니다. 단순히 제품을 알리는 것을 넘어, 사람들의 마음속에 깊이 남을 이야기를 만들고 감성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입니다.
  • 세부 직무: 브랜드 마케팅, 콘텐츠 마케팅, PR/커뮤니케이션
  • 요구 역량:
  • 성공 팁: 이 분야는 포트폴리오가 핵심입니다. 개인 블로그, 유튜브, 인스타그램 계정을 키워보세요. **예시: '취미로 운영하던 유튜브 채널 구독자 1만 명 달성', '개인 블로그에 올린 글이 조회수 10만 회를 기록한 경험'**과 같이 구체적인 숫자를 제시하면 좋습니다.

3. 비즈니스의 '손과 발', 분석가형 마케터

  • 주요 역할: 숫자를 통해 비즈니스 성장을 이끌어내는 **'탐정'**입니다. 온라인 광고를 집행하고, 고객의 행동 데이터를 분석해 광고 효율을 높입니다. 투자한 돈 대비 얼마나 많은 매출이 발생했는지(ROAS)를 꼼꼼히 계산하며 최적의 효율을 찾아냅니다.
  • 세부 직무: 디지털 마케팅, 퍼포먼스 마케팅, 그로스 마케팅
  • 요구 역량:
  • 성공 팁: 온라인 **마케팅 관련 자격증(Google Analytics, Meta Blueprint)**을 취득하거나, 소규모 프로젝트로 직접 온라인 광고를 집행해 보세요. **예시: '10만 원의 예산으로 인스타그램 광고를 집행하여 ROAS 200% 달성'**과 같은 경험은 강력한 무기가 됩니다.

Part 2. 현실적인 조언: 취업 및 이직을 위한 전략

이제 나에게 맞는 마케터 유형을 정했다면, 다음 단계는 전략적인 준비입니다.

1. 이력서와 경력 기술서는 '마케팅 성과 보고서'처럼 작성하라

  • 단순히 '온라인 광고를 운영했다'라고 쓰지 마세요. "광고비 500만 원으로 3개월 만에 매출 2억 원을 달성하여 **ROAS 400%**를 기록했습니다"처럼 숫자로 말하세요.
  • 결과를 먼저, 과정을 나중에: 헤드라인에 성과를 먼저 제시하고, 그 아래에 어떤 노력을 했는지 상세히 기술하세요.

2. 면접은 '논리' 싸움이다

  • 마케팅 면접은 단순히 경험을 나열하는 자리가 아닙니다. 논리적인 사고 과정을 보여주는 자리입니다.
  • 면접 질문 팁: "진행했던 캠페인 중 가장 성과가 좋았던 것은 무엇이었고, 그 성과를 어떻게 측정했나요?"라는 질문을 받았다면, **'목표 설정 → 가설 수립 → 실행 → 성과 분석 및 개선'**의 과정을 논리적으로 설명하세요. 실패했던 경험이라도 좋습니다. 실패를 통해 무엇을 배웠는지, 그리고 다음에는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 명확히 말할 수 있다면 더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3. 사이드 프로젝트로 '포트폴리오'를 만들어라

  • 경력이나 경험이 부족하다면, 사이드 프로젝트를 시작하세요. 개인 블로그 운영, 소규모 온라인 쇼핑몰, 지인이 운영하는 가게의 마케팅을 도와주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됩니다.
  • 예시: "친구의 핸드메이드 액세서리 가게를 위해 인스타그램 계정을 운영했습니다.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여 콘텐츠 방향을 바꾸고, 릴스(Reels)를 활용한 결과 팔로워를 200명에서 1,000명으로 증가시켰습니다."

마케팅 직무는 트렌드에 민감하고 끊임없이 배워야 하는 분야입니다. 이 글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마케터의 길을 찾고, 현실적인 준비로 성공적인 커리어를 시작하시길 바랍니다.

 

댓글